전통시장(골목상권) 디지털화49 전통시장 온라인몰 실패 사례 분석 전통시장의 많은 상인들이 코로나19 이후 온라인몰 구축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중 상당수는 온라인에서 매출을 내지 못하고 중단하거나 사실상 방치된 온라인몰로 전락했다. 온라인에 진출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고객이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상인들은 온라인몰을 단순히 ‘하나의 가게’를 인터넷에 세우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온라인몰은 오프라인 매장과는 전혀 다른 시장과 고객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영업방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시장 상인들이 온라인몰 운영에서 실패한 실제 사례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 상인들이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교훈을 제시한다. 실패 사례 ① 오프라인 단품 그대로 올려놓고 기다린 사례○○시장에 위치한 A 수산물 상인은 오프라인에서 팔던 생선을 스마트스토어에 그대로 등록했다. ‘손.. 2025. 7. 24. 전통시장 디지털화 - 온라인몰 상품 기획법 전통시장에서 오랫동안 장사해 온 상인들은 좋은 상품이 있으면 고객이 알아서 사 간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손님이 직접 보고 만지고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인은 상품 품질에만 집중하면 되었다. 하지만 온라인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고객은 상품을 직접 볼 수 없고, 사진과 설명만으로 구매를 결정해야 한다. 게다가 시장이라는 공간 자체가 온라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전통시장 상인들이 온라인몰을 운영하면서 가장 많이 실패하는 이유가 바로 오프라인 상품을 그대로 온라인에 옮기면 팔릴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온라인에서 상품은 눈에 보이는 형태와 설명, 고객의 필요에 따라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시장 상인이 온라인몰에서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을 어떻게 기획하고 구성해야 하는지를 .. 2025. 7. 23. 전통시장 디지털화 - 고객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고객이 가게에 방문했을 때 반갑게 이름을 불러주는 상인은 단골을 쉽게 만든다. 하지만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인의 기억력만으로 고객을 관리하는 시대는 지났다. 디지털 시대에 고객은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고, 후기를 남기고, SNS를 통해 가게와 연결된다. 하지만 고객을 직접 대면하지 않기에 누가 단골이고 누가 재구매 고객인지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고객은 쉽게 사라지고, 가게는 다시 처음부터 새로운 고객을 찾아야 한다. 고객 관리는 고객의 정보를 기억하고 기록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번 글에서는 중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이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다. 고객 데이터 관리가 중요한 이유고객 정보는 가게의 자산이다. 한 번 거래한 고객을 기억하고 재방문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2025. 7. 22. 전통시장 디지털화 - 리마인드 마케팅 운영법 매장에서 단골처럼 보였던 고객도, 온라인몰에서 재구매를 약속한 고객도 시간이 지나면 가게를 잊어버린다. 소상공인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고객을 한 번 방문한 후 자연스럽게 다시 올 것이라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고객은 바쁘고, 다양한 선택지가 있으며, 가게에 특별한 불만이 없어도 쉽게 다른 가게로 이동한다. 고객의 기억 속에서 가게가 지워지지 않게 하려면 고객에게 가게를 다시 떠올릴 계기를 계속해서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리마인드 마케팅이다. 리마인드 마케팅은 구매 후 고객에게 ‘다시 우리 가게를 떠올리게 만들기 위한 반복 연결 전략’이다. 이 글에서는 소상공인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리마인드 마케팅 운영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리마인드 마케팅이란 무엇인가리마인드 마케팅이란 쉽게 말해 고객.. 2025. 7. 21. 전통시장 디지털화 - 매장 전용 해시태그 제작 및 배포 방법 SNS에서 고객을 끌어들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해시태그 활용이다. 소비자는 음식점, 상점, 관광지 등을 찾을 때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 검색창에 ‘#속초맛집’, ‘#수산시장’, ‘#핫플레이스’ 등을 입력해 다른 고객이 남긴 후기를 찾아보는 것이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이 SNS에서 고객을 끌어들이려면 고객이 내 가게를 검색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때 필요한 것이 바로 ‘매장 전용 해시태그’이다. 해시태그는 고객과 가게를 검색으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많은 상점이 해시태그를 전략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단순히 유명 해시태그 몇 개를 따라 붙이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 고객이 검색할 수 있는 나만의 고유 해시태그를 만들어야만 내 가게가 노출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 2025. 7. 20. 전통시장 디지털화 - 고객 후기 관리 전담 인력 운영 가이드 디지털 시대에 후기 콘텐츠는 더 이상 부가적인 마케팅 요소가 아니다. 고객의 후기는 잠재 고객에게 신뢰를 심어주는 가장 강력한 자산이며, 동시에 기존 고객과 관계를 유지하는 통로가 된다. 하지만 많은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은 후기를 관리할 인력이 없어 자연스럽게 후기 콘텐츠가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리뷰 요청, 후기에 대한 응답, 후기 콘텐츠 재활용 같은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복적인 업무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후기가 고객을 끌어들이는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 업무는 마케팅이 아니라 매장의 일상적인 운영 업무로 자리 잡아야 한다. 후기 관리를 전담할 인력을 두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점포가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후기 관리 전담 인.. 2025. 7. 19.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