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마케팅은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이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케팅 방식이다. 그러나 많은 상점이 동일한 형식의 게시물을 반복하거나, 유행 콘텐츠만 무작정 따라 하다가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소비자는 상권마다 다르고, 그에 따라 관심 갖는 콘텐츠도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서울 강남의 고객이 원하는 것과, 강원도 정선의 고객이 반응하는 콘텐츠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대도시, 신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관광지로 상권을 구분하여, 각각에 적합한 SNS 콘텐츠 유형을 구체적으로 추천한다.
대도시 상권 – 브랜딩형 콘텐츠와 감성 비주얼 중심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의 상권에서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경험과 개성 있는 비주얼 콘텐츠를 선호한다. 특히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쇼츠 중심의 감성 중심 피드 구성과 핵심 키워드 중심의 해시태그가 중요하다.
추천 콘텐츠 유형 :
- “오늘의 감성” 사진 콘텐츠 : 매장 외관, 디저트/제품 비주얼, 포토존 등
- 스토리 텔링형 릴스(짧은 영상) : "왜 이 떡을 만들게 되었는지", "우리 엄마의 손맛" 등
- 고객 리뷰 리그램(재 업로드) : 실제 방문객의 후기 콘텐츠를 공유
- 네이버 플레이스/지도 후기 유도 카드뉴스 : "리뷰 남기면 서비스!" 유도
신도시 상권 – 편의 정보 & 실용 중심 콘텐츠
세종, 동탄, 김포, 송도 등 신도시 소비자는 육아 가구, 맞벌이 부부, 30~40대 여성층이 중심이며, SNS를 정보 탐색 수단으로 활용한다. 이들에게는 리얼 후기, 가격 정보, 영업시간, 예약 방법, 위치 등 실용적 콘텐츠가 우선 반응을 얻는다.
추천 콘텐츠 유형 :
- ‘한눈에 보는 이용 가이드’ 이미지 : 영업시간, 위치, 주차 안내, 예약 링크 포함
- 제품 구성 소개 카드뉴스 : 반찬 세트, 도시락 종류, 금액대별 옵션 소개
- 엄마들의 실제 후기 콘텐츠(스크린샷 활용)
- ‘예약 마감 임박’ 알림용 스토리 / 게시물
중소도시 상권 – 단골 중심 소통형 콘텐츠
중소도시(충주, 전주, 안동 등) 상권에서는 고객과의 관계성이 중요하고, 가게 주인과의 친밀함이 소비 동기를 만든다. SNS 콘텐츠는 판매 중심보다는 ‘정감 있는 소통’과 ‘가게 이야기’ 중심이 효과적이다.
추천 콘텐츠 유형 :
- 일상 브이로그형 스토리 : 떡 찌는 아침, 반찬 준비하는 장면 등
- ‘우리 가게 히스토리’ 게시물 : 1988년부터 이어온 가게 이야기
- 고객 참여형 콘텐츠 : “우리 가게 BEST 메뉴 투표해 주세요!”
- 오늘의 단골 인터뷰 : 오랫동안 온 고객의 짧은 인터뷰
농어촌 & 관광지 상권 – 체험 콘텐츠 + 지역 감성 콘텐츠
농촌 전통시장이나 관광지 상권에서는 지역 정체성과 스토리텔링이 가장 강력한 콘텐츠 요소다. 외부 고객에게 ‘여기만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SNS상에서 공유되며 유입을 이끈다.
추천 콘텐츠 유형:
- ‘직접 만드는 과정’ 영상 콘텐츠 : 예: 꿀 약과 만드는 과정, 찰떡 찌는 장면
- 지역 문화 + 제품 결합 콘텐츠 : 예: “정선 아리랑 떡 이야기”
- ‘여기서만 살 수 있는 것’ 강조 콘텐츠
- 고객 인증샷 유도형 이벤트 : “사진 찍고 #정선 오일장 올리면 사은품 증정!”
결론 : SNS 콘텐츠는 결국 '누구에게 보여줄 것인가'의 문제
모든 상권에 똑같은 콘텐츠 전략은 없다. 중요한 것은 타깃 소비자의 상황, 위치, 행동을 이해하고 콘텐츠를 맞추는 것이다.
서울 시장의 콘텐츠는 감성, 신도시 시장은 실용, 중소도시는 소통, 관광지는 경험이다. SNS 마케팅은 어렵지 않다. 단, 내 상권을 분석하고 ‘맞춤형 콘텐츠 유형’을 지속해 생산할 수 있어야 진짜 효과가 난다. 처음엔 하루 하나의 카드뉴스, 하나의 사진부터 시작하자. 지역과 상권을 이해하는 것이 곧 SNS 전략의 첫걸음이다.
'전통시장(골목상권) 디지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제 성공한 전통시장 디지털 협업 운영 사례 분석 (0) | 2025.07.03 |
---|---|
전통시장 디지털화 협업 모델 설계 (0) | 2025.07.03 |
전통시장 디지털화와 지역 상권별 소비 패턴 변화 (1) | 2025.07.02 |
전통시장 디지털화의 시작 : AI 고객 분석 시스템 도입 (1) | 2025.07.02 |
전통시장은 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가? (0) | 2025.07.01 |